■ 책 소개
창밖 풍경이 다르면 왜 병이 낫는 속도가달라질까?
우리가 주변 환경에서 느끼는 감각과 치유 능력의 연결고리를 탐색하는 신경과학 연구의 연대기를 철저하게파고든 책. 우리를 둘러싼 외부 환경과 몸속의 변화, 감정과 기억 사이에서 어떤 놀라운 상호작용이 일어나는지 밝히는 것에서 시작한다. 우리가 숨쉬고 살아가는 공간이 우리의 몸과 마음에 영향을 끼친다는 상식적인 믿음에 근거를 제시하고, 집, 마을, 도시, 세계로 시각을 넓혀가며 좀 더근본적인 치유(힐링)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저자의설명에 따르면, ‘감각’이 우리를 ‘치유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이끌 수 있다면, 우리가 어떤 공간, 어떤 장소에 있는지가 우리 삶에 결정적으로중요하다는 것은 결코 놀랄 일이 아니다. 환경의 건강함은 개인의 행복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책에서 선보이는 수많은 발견들은 병원, 공동체,그리고 근린 환경이 모두의 치유와 건강을 증진하도록 설계할 때 고려할 가능성들을 보여준다.
■ 저자 에스더 M. 스턴버그(Esther M. Sternberg)
매슈A. 윌슨(Matthew A. Wilson)과 함께 「셀(CELL)」지에 발표한 논문 「신경과학과 건축, 공통의 토대를찾아서(Neuroscience and Architecture: Seeking Common Ground)」로 ‘신경건축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의태동을 알렸다. 스트레스 반응이 건강에 끼치는 영향, 뇌와 면역체계 사이의 상호작용 등에 관해 광범위하게 연구해온 정신건강 전문가.워싱턴주립대학교 교수를 거쳐 1986년부터 미국 국립보건원에 재직했으며, 지금은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정신보건원에서 연구하는 동시에애리조나주립대학교의 통합의학센터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내면의 균형(Balance Within)』이있다.
■ 역자서영조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와 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과를 졸업하고 영어권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부산국제영화제를 비롯해 여러 영화제의 출품작 번역가로도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철학을 권하다』『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내가말하는 진심 내가 모르는 본심』『브레인 룰스』『생각의 공식』 등이 있다.
■ 감수 정재승
카이스트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정신과 연구원,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연구교수,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조교수 등을 거쳐 지금은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로있다. 지은 책으로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크로스: 정재승+진중권』 『쿨하게 사과하라』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등이있다.
■ 차례
추천의 글 - 행복을 위한 건축, 건축을 위한 신경과학
프롤로그 - 삶의안식처를 찾아서
1부 마음속, 가장 강력한 치유의 공간
1. 심리학이 건축과 만나다
창밖 풍경이 당신을 치유한다 | 신경건축학의 태동 | 뇌와 건축의 오래된 만남 | 치유의 메커니즘을 찾아서 | 그곳에 가면 영감이떠오른다
2. 보는 것이 낫는 것 : 시각의 비밀
우리 뇌가 세상을 이해하는 법 |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풍경의 비밀 | 빛과 색깔이 기분을 바꾼다 | 시각의 강력한 조건형성
3. 나의 뇌를 울리는 소리 : 청각의 경이
소리는 어떻게 감정이 되는가 | 정적, 소음, 놀람 | 록 뮤지션, 신경과학자가 되다 | 음악을 들으면 정말 치유에 도움이 될까?
4. 손끝과 코끝에 닿는 것 : 촉각과 후각
세공기 중에 떠도는 정보들 | 공포의 냄새, 행복의 향기 | 동방박사는 왜 예수에게 유향을 선물했을까 | 아기를 많이 안아줘야 하는 이유
2부 공간과 기억이 빚어내는 마술
5. 미로와 미궁
해리 포터를 불안하게 만든 것 | 미로: 낯선 것과 마주치는 순간 | 미궁에서 걷고, 숨 쉬고,치유하다 | 면역력을 높이려면? 명상하거나 운동하거나! | 미국 국립보건원의 색다른 시도
6. 현대 건축의 심리학적 모험
천재 건축가와 디즈니의 만남 | 창안자들, 환상을 창조하다 | 길찾기의 신경과학
7. 기억과 길 찾기
“당신들내 기억에다 무슨 짓을 한 거요?” | 기억이 ‘나’를 만든다 | 아프던 때의 기억이 희미한 이유 | 인터루킨-1 : 아플 때나 건강할 때나 |디즈니랜드를 닮은 요양원
3부 힐링스페이스를 찾아서
8. 사람들은 왜 산티아고로 떠나는가
성모 마리아의 기적 | 믿음반응: 강렬한 황홀감으로치유하다 | 달라이 라마와 명상에 빠진 승려들
9.호르몬? 호르몬!
플라시보 효과와 뇌에서 분비되는 마약 | 면역도 학습된다 | 루르드의 기적을 재현하다 | 호르몬과 긍정적 감정이 만나면
10. 더 나은 삶의 시작
‘근거중심 디자인’의탄생 | 병원의 무시무시한 역사 | 부부 싸움을 하면 면역력이 떨어지는 이유 | 커크브라이드의 실험 | ‘자연친화 설계’란 무엇인가 | 병원의미래를 바라보다 | 인간을 위한 과학, 치유하는 디자인
에필로그 - 이제, 도시와 세계를 바꿔라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