ϽӸ [519,999]
ؿܼ [0]
۷ι Ʈ [2]
̵ 긮ν [470]

[597]

“성장의 한계”와 “제한 없는 성장”
1970년대 인류를 둘러싼 다양한 위기를 피하고 관리하기 위한 활동이 시작됐다. 그중 최초의 사업은 ‘인류의 위기에 관한 프로젝트’로, 이 프로젝트를 수탁한 MIT가 로마 클럽에 제출한 연구보고서가 바로 『성장의 한계』(The Limits to Growth)』이다. “성장의 한계”는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서 기하급수적 성장을 무한대로 계속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이 있다. “제한 없는 성장”이 그것이다.
세계를 격변시키는 인구의 힘
미래는 인구, 기술, 인간의 행위에 있어 그 추세에 따라 결정된다. 이 3가지 요건 중 인구는 가장 예측 가능한 것, 그러나 변화에 있어서는 가장 어려운 것이다. 오늘날 국제무대는 미국이라는 현재로서는 유일한 수퍼 파워에 의해, 그리고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해외에서 활동하는 미국의 정책적 실패와 미국 내 정치적 혼돈으로 인해 미국의 힘이 약해진 것이라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것이 사실일까? 중국과 러시아, 미국의 인구학적 예상이 이 세 국가가 가진 힘의 상대적 잠재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무엇일까? 21세기 거인들의 충돌이 가져올 기회와 위기는 무엇일까?
"단순주의자" 상대하기
경제, 인구, 사고방식, 기술의 결집은 과시적 소비에서 과시적 절약으로 엄청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일부는 세대적 추세이며, 일부는 단지 되풀이되는 현상일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에게 의미하는 바는 크다. 그 미래는 어떠할까? 대부분의 기업들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의미는 무엇일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br>
나는 왜 이렇게 산만해졌을까
| 알렉스 수정 김 방(역: 이경남)
ǻ | 시공사
단숨에 정리되는 그리스철학 이야기
| 이한규
ǻ | 좋은날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