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를 격변시키는 인구의 힘 |
|
미래는 인구, 기술, 인간의 행위에 있어 그 추세에 따라 결정된다. 이 3가지 요건 중 인구는 가장 예측 가능한 것, 그러나 변화에 있어서는 가장 어려운 것이다. 오늘날 국제무대는 미국이라는 현재로서는 유일한 수퍼 파워에 의해, 그리고 중국과 러시아라는 강대국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해외에서 활동하는 미국의 정책적 실패와 미국 내 정치적 혼돈으로 인해 미국의 힘이 약해진 것이라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것이 사실일까? 중국과 러시아, 미국의 인구학적 예상이 이 세 국가가 가진 힘의 상대적 잠재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무엇일까? 21세기 거인들의 충돌이 가져올 기회와 위기는 무엇일까? |
|
|
 |
자동화의 새로운 시대가 성큼! |
|
공장 자동화에 대한 논의는 이제 ‘일자리를 가져가는’ 산업용 로봇에서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는’ 로봇으로 그 패러다임이 이동하고 있다. 로봇을 두려워하기 보다는, 공장 노동자들이 점차적으로 이러한 로봇들을 환영하고 있다. 반복적인 업무나 육체적으로 힘든 업무를 이들 로봇이 처리해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업무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이들은 더 부가가치 높은 일을 수행하게 된다. 어떤 요인이 이러한 변화를 이끌었을까? 어떤 의미와 수익 창출의 기회가 생성되는가? |
|
|
 |
미국과 중국, G2 경제의 미래 |
|
최근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이 거세지만, 거시적인 측면에서 명실상부한 G2 중국의 경제를 세계적인 시각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은 정보통신 기술과 저렴한 에너지 비용을 통해 성장을 주도하면서 동시에 중국도 소비 주도 시장경제로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나머지 국가들은 이 G2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이들이 형성한 패러다임에 맞춰 나갈 수밖에 없다. 중국의 변화는 세계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각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
|
|
 |
해외 공급망 확보와 중국의 전략 |
|
세계 경제가 기술과 인구의 변화로 인해 일대 변혁을 맞으면서 중국 또한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중국이 계속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과 혼란 속에 붕괴하기 시작할 것이라는 예측이 맞물리고 있다. 그러나 지정학적 현실에 의거해 중국이 다른 노선을 택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새로운 중국 경제는 어떤 길로 나아갈 것인가? |
|
|
 |
정체기를 맞은 세계화, 과연 계속될까 |
|
세계화는 디지털 기술-경제 혁명이 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의미심장한 제도적 발전이었다. 사상 처음으로 정보기술은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함께 어울리고 협력하고 소통하는 일을 가능하게 했다. 하지만 닷컴 버블의 붕괴와 함께 시작된 혁명의 과도기 단계를 거치면서 세계화는 사실상 서서히 멈추기 시작했다.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이며,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나게 될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세계화의 역사적 과정과 그 원동력을 살펴봐야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