ϽӸ [494,120]
ؿܼ [0]
۷ι Ʈ [2]
̵ 긮ν [348]

[132]

빠르고 값싼 ‘인간 게놈’ - 인류의
디지털의 영향력이 유전체학 분야보다 더욱 크게 미치는 곳은 없다. 대략 십여 년 동안 가격 대비 성능은 300만 배 향상되었으며 속도는 60,000배 빨라졌다. 그 어떤 분야도 이러한 발전에 견줄 수 없을 정도다. 현재 유전체학은 디지털과 만나 어디까지 발전했고, 그 미래는 어떠할까?
성장통을 앓고 있는 소셜 미디어
수백만 명의 미국인들이 페이스북(Facebook), 마이스페이스(MySpace), 트위터(Twitter)와 같은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접속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몇 시간, 심지어는 몇 분 간격으로 자신들이 하는 일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하지만 이 사이트들은 자신들의 상태 변화를 사람들에게 업데이트하는 일에 있어서는 그다지 정확하지 않았다. 수많은 연구 보고서들이 풋풋함이 넘치는 치어리더 여고생 프로필 페이지가 사실은 중년의 대머리 아저씨였다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오늘날 소셜 미디어 사이트는 보이는 것과 달리 그다지 인기 있거나 매력적이지 않다는 점을 폭로하기 시작하고 있다. 일례로, 2010년 3월, 데일리파이낸스닷컴(DailyFinance.com)의 기사는 마이스페이스의 내부 트래킹 시스템이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서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이용자 숫자가 마이스페이스가 주장하는 1억 명과는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The Lords of Easy Mo
| Christopher Leonard
ǻ | Simon & Schuster
양자 컴퓨팅과 국가 안보
경제와 국가 안보에 있어,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컴퓨터의 영향을 75년 전 실험실에서 최초로 컴퓨터가 등장했을 때는 예측할 수 없었다. 마찬가지로 양자 컴퓨팅이 미래에 경제와 국가 안보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 새로운 기술을 지배하기 위한 전쟁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민간 및 공공 자원을 흡수하고 있다. 왜 이것이 중요한 것일까? 어떤 위협과 기회를 만들 것인가? 승리를 보장받으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대침체 극복하기
정확히 반세기 전, 1973년에 갑작스럽고 충격적인 경기 침체기가 찾아왔다. 당시 이 문제는 ‘생산성 향상’과 ‘경제 성장’ 둔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 두 가지 요소의 정체가 너무 오랫동안 지속됨으로써 피할 수 없는 것처럼 보였다. 이 시기를 우리는 ‘대침체기’라고 부른다. 현재의 시기는 1973년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과거 대침체기 이후 경제가 크게 부흥한 것도 유사하다. 어떤 기회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